-
제목 : 시민들의 문화예술 향유를 위한 지원정책 프로그램 연구 및 개발
2. 연구배경:
우리나라는 더 이상 문화예술의 변방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전 세계 많은 이들이 우리의 문화에 열광하고 있는 요즘, K-WAVE, K- CULTURE 등 오늘날 세계에서의 문화적 위치는 가히 최고라 생각합니다. 허나,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문화예술을 일상생활 속에 묻어나오도록 ‘생활문화예술’ 이라는 것으로 정하고, 연령별,지역별, 장르별로 고르게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갖추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정부에서 문화예술에 관한 지원 사업들을 많이 제시 하고는 있으나, 직접적인 지원 및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예술 정책을 좀 더 통합적이고 직접적으로 자생력을 키울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문화예술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인 지금, 문화예술을 통해 사회적인 측면,경제적인 측면의 가치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3. 연구 목적
시민들의 삶을 위해 공원을 만들고, 숲을 만드는 도시계획을 하듯이, 예술,기술,도시가 하나가 되기 위해선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줄 문화복지 계획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문화의날, K-CULTURE VALLEY (2020년 완공) 등 문화 예술만을 위한 공간들과 공공예술, 정부주도의 다양한 정책들이 많이 만들어 지고는 있지만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기획, 프로그램들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많은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통해 삶의 질, 정신적인 풍요를 누리기 위해선 지원정책 프로그램 또한 꼭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문화예술은 하루만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공유하고 소통하고 정신적인 풍요를 느낄수록 우리 사회의 삶의 질은 분명 더 높아질 거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또한, 시민들의 삶의 질과 풍요로운 정서가 함께 할떄엔 예술을 통한 융복합적인 (과학,산업,관광등) 발전 또한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4. 연구 방법 : 생활문화예술 정책 현황,
문화정책들의 실행,기대 고찰
프랑스의 Structure de creation et de diffusion ,영국의 “Creative scope ‘등 의 정책들의 효과들을 토대로 조사 연구한다.
또, 각각의 세부 연구주제를 살피기 위해 다양한 여러나라의 정책들을 분석,연구해 보고 우리나라 경제,정치,상황등에 알맞는 프로그램을 기획 및 개발해본다.
5. 참고 문헌 및 영상 : 한국과 일본의 생활문화예술 지원정책 비교연구 2017
문화기술발전을 위한 예술정책에 관한 연구 2008
활발하게 펼쳐지는 게임사들의 CSR,게임사들의 사회공헌 활동 조감
알세르칼 에비뉴 2017 ABROAD
전수환, 영국의 VAN을 소개합니다 웹진 2011



